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김해시 돗대산 항공기 사고현장 정비
상태바
김해시 돗대산 항공기 사고현장 정비
  • 조민정 기자
  • 승인 2020.04.10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령비, 돌탑 세우고 전시관 설치 후대 교육
김해공항 위험성 재조명 신공항 안전성 강조

김해시는 돗대산 항공기 추락사고의 아픔을 잊지 않기 위해 3500만원을 들여 미수습 잔해물을 정비하고 사고 현장에 위령비와 돌탑, 안내판을 세웠다.

또 삼계동 민방위 재난안전체험장에 수거한 추락 항공기 잔해와 사고경위, 사진 등으로 전시관을 만들어 민방위 교육, 재난안전 체험 때 항공사고에 대해서도 교육할 수 있도록 했다.

돗대산 항공기 추락사고는 2002년 4월 15일 승객과 승무원 166명을 태우고 중국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을 출발해 김해공항에 착륙하려던 중국국제항공사 소속 보잉767기가 기상 악화로 돗대산(지내동 산22번지 일원)에 추락해 129명(한국인 110명, 중국인 19명)이 죽고 37명이 다친 국내 최악의 항공사고이다.

시 관계자는 “지리적 여건으로 항공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김해공항을 확장한 김해신공항 역시 별반 이에 대한 개선 없이 추진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돗대산 항공기 사고현장을 정비해 위령비를 세우고 전시관을 설치했다”며 “기존 공항 개선이 신공항 건설보다 더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해공항의 지리적 여건을 감안할 때 북쪽 산악지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현재 활주로와 나란한 11자형의 활주로를 남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등의 안전대책을 수립하지 않는다면 또 다시 아픈 역사가 되풀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또 김해신공항 건설계획 역시 기존 공항과 비교해도 항공기 안전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국민검증단, 부울경 검증단에서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이는 항공기 착륙항로 진입표면상에 경운산, 임호산 등의 장애물이 있고 활주로 착륙 실패 후 복행 시 남측은 승악산 정면, 우측은 고층 아파트가 즐비한 에코델타시티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60여종의 조류들로 인해 가장 큰 항공사고 요인이 되는 버드스트라이크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등 현 공항 주변 지리적 여건이 나쁘기 때문이다.

지난 돗대산 추락사고 조사결과 폭우와 안개 등 악천후 속에서 김해공항 북쪽으로 착륙하기 위해 선회비행을 하던 중 조종사들이 정확한 선회지점을 놓치면서 발생한 사고로 결론 났다.

그 당시 정부(건교부) 조사에서 김해공항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비해 29배나 위험한 것으로 나타나 사고 발생후 6년이 지난 2008년 북쪽에서 착륙하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유도등을 설치했으며 안전한 운항에 필요한 무선시설을 확충했다.

시 관계자는 “안전시설 보완에도 불구하고 김해공항은 북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안전등급이 최하위인 비정밀 등급의 활주로를 보유해 지금도 여전히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국무총리실 신공항 검증 시 지역 여건 등을 면밀히 검토해 안전, 소음 등에 있어 지역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검증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