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매일 PDF 지면보기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과월호 호수이미지
최근 김해종합뉴스
행복1%나눔재단 희망캠페인
함께해요 나눔운동
時도 아닌 것이
행복밥집
TV 방송 영상
커뮤니티
다시보는 부끄러운 김해 현장
ㅡ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자
상태바
ㅡ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자
  • 편집부
  • 승인 2008.09.29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ㅡ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자

권우상
역사소설가

우리 속담에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자’ 는 말이 있다. 돈을 벌 때에는 궂은 일을 가리지 말고 번 돈을 쓸 때에는 어엿하고 보람있게 쓴다는 뜻의 속담이다. 이 속담이 뜻하는 바는 돈을 제대로 쓰라는 가르침이다.

그런데 한가지 우려되는 것은 ‘개같이 벌어’라는 대목이다. 이 말이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무한 욕망적 자본축적 궤도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원래 개는 학처럼 귀티가 나는 동물이 아니라 먹을 것이 있다면 똥구덩이에도 들어가는 동물이다. 그래서 옛날에는 어린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개를 키워 아이의 똥을 개가 먹어 치우도록 했다. 그런 개처럼 돈을 벌어라고 했으니 어찌보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돈을 벌어라고 하는 뉘앙스가 풍긴다.

이 속담이 생겨날 당시에는 경제상황이 어떠했는지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경제상황은 못먹고 헐벗은 상태가 아니였을까 싶다. 따라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변칙이나 무리한 행동은 용납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요즘에 이같은 변칙이나 무리한 행동은 나쁜사람으로 손가락을 받기 십상이다. 아니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한국 사회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라 하더라도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비리나 부패, 또는 생태 파괴적 이기주의 등은 '개같이 벌어서' 라는 천민자본주의적 발상이 내포된 탓이 아닌가 하는생각이다.

쥐꼬리만한 권력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이권이나 챙길려하고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치부하려 든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부자가 존경을 받지 못한 이유는 바로 이와같은 방법으로 치부를 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뇌물, 급행료, 떡값, 촌지, 컨미션, 리베이트, 찬조금, 발전기금 등 뇌물의 명칭도 가지각색이다.

특히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에게 건네는 뇌물은 '떡값'이라고 하는데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까지 있으니 권력이 없는 일반 국민들은 어떻게 생긴 떡인지 구경조차 할 수도 없다. 그런데 이러한 뇌물로 건네지는 돈은 한가지 공통된 점이 있다.
주고 싶어서 돈이 아니라 마지못해 건네주는 돈이다. 그렇다보니 이돈이 올바르게 쓰일 리가 만무하다.

난마(亂麻)처럼 얽힌 사회부조리는 돈과 엮이지 않는 것이 없는 것 같다. 이 모두가 결과만을 중시하는 사회풍토의 산물이고 '돈이면 안되는 것이 없다' 는 천민적인 발상이 사회적으로 용인돼 온 탓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사회에 '돈이면 다 된다'는 가치관이 사라지지 않는 한 부패의 고리는 끊을수 없고, 부패의 고리를 그대로 달고서는 선진국 진입은 기대하기 어렵다. 국민들이 잘 먹고 잘 지낸다고 선진국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가자면 돈은 꼭 필요하다. 그래서 돈을 벌려고 직장을 갖고 땀을 흘려 열심히 일을 한다, 이처럼 돈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하기는 하지만 숭배의 대상은 아니다. 그렇다고 척배의 대상도 아니다. 돈은 유혹하는 마력이 강하여 누구나 쉽게 빠져든다. 하지만 돈에 빠져 돈을 탐닉한다면 진정으로 돈의 유용성을 모르는 행위다.

돈이 왜 필요한가에 해답을 내리지 못하고 돈, 돈 하는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자본의 탐욕을 적절히 다스리는 일이야 말로 비리와 부정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일이다. 그래서 '무조건 돈을 벌자'라고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이런 생각이 범죄를 만들고 패가 망신으로 가는 첩경이다. 돈을 지배해도 돈의 노예가 되었서는 안된다.

돈을 벌되 한점 부끄럼 없이 깨끗하게 벌어야 한다. 그렇게 벌어서 부자가 되어야 존경을 받는다. 건강한 돈이 가치가 있고 그런 돈이 많이 축적될 때 사회가 건강해진다. 부자들이 존경받지 못하는 사회는 불행한 사회이다. 누구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그 부의 원천이 투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자들이 존경받는 사회라면 그사회는 지금 보다 훨씬 발전된 사회가 될 것이다. 무한축적을 추구하는 자본의 탐욕 속성에서 벗어나 정승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쓰려는 자세가 이사회와 개개인을 아름답게 만들수 있다. 우리 모두 사회와 개개인을 아름답게 만드는 일에 동참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